전체보기2889 [필리핀 생활] 요즘 마닐라의 자동차 운전전문학원에서의 운전연수 비용 차를 어떻게 운전하는지 알아도 필리핀 마닐라에서 생활하면서 바로 자동차를 직접 운전하기란 쉽지 않다. 도로 상태만큼이나 운전자의 자질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하는 이야기인데, 대체 왜 저렇게 운전하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이야기가 저절로 나올 만큼 형편없는 매너를 가진 운전자도 쉽게 볼 수 있다. 차선위반이나 신호위반은 기본이요, 역주행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운전에 미숙하거나, 운전은 잘하지만 마닐라의 도로와 좀 더 친해지고 싶다면, 자동차 운전전문학원의 도움을 받아 운전을 익히면 된다. 마닐라에는 자동차 운전전문학원이 상당히 많고 학원마다 다양한 운전연수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운전면허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도로주행 PDC(Practical Driving Course) 교육이 메인이지만, 이미 운전면허.. 2023. 11. 5. [필리핀 마닐라] 4,200원으로 손 세차를? 만달루용의 세차장 카페 종종 느끼는 부분이지만, 내가 사업으로 해봤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 대부분은 이미 누군가 하고 있다. 이를테면 세차장 카페와 같은 것이 그렇다. 세차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시간이 지루해서 세차장에 카페 같은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하곤 했었는데 몇 년 전부터 필리핀에도 세차장 카페가 조금씩 생겨나고 있다. 보통 세차장 한편으로 작은 카페 공간을 만들어 놓고 간단하게 음료와 간식거리 정도를 팔지만, 본격적으로 식사 메뉴를 개발하여 식당을 겸하는 곳도 있다. 가끔은 삼겹살을 파는 가게도 보인다. 차가 늘 깨끗했으면 좋겠다는 사람에게는 좋은 일이지만, 필리핀에서 살면서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손세차이다. 인건비가 저렴한 덕분에 직접 세차하는 셀프 세차장이나 기계식 자동 세차장은 보기 .. 2023. 11. 5. [마닐라 생활] 타이어 펑크 때우기와 직업의 귀천 세상에 하찮은 일은 없다고 하지만, 제 일을 하찮게 하는 사람은 상당히 자주 볼 수 있다. 누구나 탐낼 만한 일을 하면서도 대충 일하는 사람도 종종 만난다. 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어떤 일을 하느냐보다는 어떤 일을 "어떻게" 하느냐이니, 무엇이 직업의 귀천을 구분하는지에 대해 가끔 생각해 보게 된다.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기본적인 성의는 보여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게 하는 사람이 내 주변에 하나 있기 때문이다. 뛰어난 업무 능력이나 장인정신까지는 바라지도 않지만 불성실한 태도로 함께 일하는 이를 힘들게 할 필요는 없을 터인데 싶지만 잔소리는 나오지 않는다. '그냥 대충 하면 되지요'라는 마음가짐은 누군가의 지적으로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튼, 그래서일까, 험한 일이라도 자기 일을 .. 2023. 11. 4. [마닐라 생활] 그랩카와 라디오 드라마 필리핀 라디오 드라마 소리 차에는 코로나가 한창이던 때 붙였던 스티커가 가득했다. 누군가 떼어내려고 시도했지만 잘되지 않았는지 모퉁이만 잔뜩 찢어져 있다. 하지만 차가 낡아 보이는 것이 지저분한 스티커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만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오래된 차였다. 2012년 스티커가 있는 것을 봐서 최소 10년은 탔을 차는 움직일 때마다 '그르렁' 혹은 '덜덜'과 같은 내지 멀아야 하는 소리를 냈다. 쿠션감이라고는 전혀 없이 푹 가라앉은 의자는 차가 움직일 때마다 뼈마디를 함께 움직여 댔고, 의자가 움직일 때마다 언제 던져놓았는지도 모를 정도로 먼지가 뒤엉킨 온갖 잡동사니가 함께 흔들렸다. 이상하게 차가 잡히지 않는 날이었다. 약속 시간은 다 되어가는데 그랩은 물론이고 오토바.. 2023. 11. 3. [마닐라 생활] MMDA, EDSA 버스전용차선 위반 시 과태료 대폭 인상 메트로마닐라개발청(MMDA)에서 EDSA 도로 내 버스전용차로 위반 시 부과되는 벌금을 파격적으로 올릴 예정이라는 소식이다. 지속적인 경고에도 불구하고 버스전용차로 위반자가 줄어들지 않음에 따른 특단의 조치이다. 현재 승용차가 버스전용차선을 이용할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는 1천 페소(한화 약 23,800원). MMDA에 따르면 1천 페소의 벌금을 내고서라도 버스전용차선을 이용하려는 운전자가 종종 목격되기에 이를 5천 페소(한화 약 12만 원)로 인상하겠다는 것이다. 위반 횟수에 따라 과태료 액수는 점점 늘어나며, 운전면허 정지 또는 취소의 처벌을 받게 될 수도 있다. 한편, 버스전용차로 규정(Bus Carousel Lane regulation)은 지난 2018년 MMDA에서 마닐라의 차량 정체를 조금이라도.. 2023. 10. 27. [필리핀 대중교통] 마닐라 마카티에서 산타로사 누발리까지 P2P 버스 운행스케줄 마닐라 마카티에서 산타로사 누발리(Nuvali)까지 P2P 버스 운행스케줄 - 문의: Tas Trans Corp. (02) 8 872-8497 ※ 위의 내용은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Nuvali: P2P Bus Schedule effective on October 9, 2023 until further notice [필리핀 대중교통] 마닐라 마카티에서 산타로사 누발리까지 P2P 버스 운행스케줄 - Copyright 2023. 콘텐츠 스튜디오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PHILINLOVE)에 있으며 무단전재,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 사전 동의 없이 글, 사진, 동영상 등의 내용을 재편집하거나, 출처 없이 콘텐츠를 무단.. 2023. 10. 19. [필리핀 경제] 2019년~2023년 7월 고용노동통계(취업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필리핀 고용노동통계 ■ 조사 기간: 2019년 ~ 2023년 7월 ■ 자료 출처: 필리핀 통계청(PSA) - 경제활동참가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취업자+실업자. 만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해외노동자(OFW) 와 필리핀 대사관, 영사관 등에 근무하는 직원은 LFPR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다. - 취업률(Employment rate): 취업 의사와 노동할 능력을 갖춘 인구 가운데 취직한 사람의 비율 - 실업률(Unemployment Rate): 취업 의사와 노동할 능력을 갖춘 인구 가운데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 불완전고용률(Underemployment Rate): 정규직으로 고용된 것이 아니라 단기로 고용된 임시직과 일용직 노동자의 비율 +.. 2023. 10. 4. [필리핀 경제] 필리핀 통계청(PSA)의 고용노동통계(LFS) 관련 용어의 의미 LFS(Labor Force Survey)는 필리핀 통계청(PSA)에서 실시하는 고용노동통계 관련 전국 조사이다. 조사의 표본 가구 수는 약 44,000가구이며, 5년마다 진행되는 인구조사(POPCEN)를 기반으로 표본이 선정된다. 고용노동통계조사는 원래 1월, 4월, 7월, 10월 분기별로만 실시되었었지만, 2021년 2월부터 분기별, 월별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필리핀 통계청(PSA)에서는 해외근로자(OFW)를 고용노동통계 관련 조사에서 제외한다. 해외근로자를 노동인구(Labor Force)로 보지 않기 때문에 가족을 해외근로자로 보낸 뒤 생활하는 가구구성원의 경제적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지 않는다. 고용노동통계(LFS) 관련 용어 필리핀 통계청(PSA)에서 발표하는 고용노동통계 관련 용어.. 2023. 10. 4. [필리핀 경제] 쌀가격상한제와 요즘 필리핀의 쌀 가격 근황 필리핀은 1년에 3모작도 가능한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가격경쟁력이 낮다는 이유로 농업을 버린 탓에 쌀 자급자족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1억 1,300만 명이나 되는 필리핀 사람들의 주식은 바로 쌀밥이다. 필리핀인을 괴롭히려면 쌀밥을 주지 않으면 된다는 농담이 나올 정도이다. 현재 필리핀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쌀을 많이 수입하는 나라로 주로 베트남과 인도 등에서 쌀을 수입하여 밥상에 올리고 있다. 최근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쌀 가격이 1kg당 60페소까지 오를 수도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자 필리핀 정부에서는 쌀 가격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No. 39, s. 2023)을 발표했다. 쌀의 판매 가격을 제한하는 쌀가격상한제(Rice price ceiling)를.. 2023. 10. 3. [필리핀 경제]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상승률(2019년 1월~2023년 8월) 필리핀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23년 8월 기준으로 필리핀의 인플레이션은 5.3%이다. 1월부터 8월 사이 평균 인플레이션은 6.6%. 1월의 8.7%에 비해 낮아졌으나 필리핀 개발예산조정위원회(DBCC) 목표치인 2~4%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상태이다. 전문가들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연료비 급등과 교통비 증가, 달러 환율 상승(페소 가치 하락), 기상악화로 인한 농수산물 가격의 급등 등을 물가 상승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수입품의 가격이 올라가고, 전반적·지속적인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유발되는 식이다. 문제는 빈곤함마저 느껴지는 고물가 상황에서도 마땅한 해결책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치솟는 물가로 인해 소비 여력과 구매력은 하락하고, 조만간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 2023. 10. 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89 다음